북구 (포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시 북구는 1995년 1월 1일 신설된 포항시의 행정 구역으로, 1읍, 6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해안에 위치하여 다양한 지형을 이루며, 2012년 6월 1일 기준 265,980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과메기, 죽도시장, 환호해맞이공원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며, 포항대학교, 선린대학교, 한동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철도, 도로, 해상 교통이 발달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구 - 남구 (포항시)
포항시 남구는 1995년 신설되어 3개의 읍, 4개의 면, 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경주공항, 다양한 도로, 구룡포해수욕장 등의 주요 시설과 명소를 갖춘 지역이다. - 포항시 북구 - 송라면
포항시 북구에 있는 송라면은 광천리, 대전리, 방석리 등 8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연산, 보경사, 화진해수욕장 등의 명소와 교육, 금융, 의료 시설이 있고, 동해대로, 보경로 등의 도로망이 갖춰져 있다. - 포항시 북구 - 기계면
기계면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면으로, 신라 시대에 기계현으로 개칭된 후 영일군을 거쳐 포항시에 통합되었으며, 기계환승센터를 중심으로 교통이 연결되고 기계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 역사적으로 인물을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북구 (포항시) | |
---|---|
개요 | |
행정구역명 | 북구 (北區) |
로마자 표기 | Buk-gu |
한글 표기 | 북구 |
한자 표기 | 北區 |
가타카나 표기 | 푸쿠 |
면적 | 734.72km² |
통계 연도 | 2023년 |
총 인구 | 266,755명 |
남자 인구 | 132,733명 |
여자 인구 | 134,022명 |
상위 자치 단체 | 포항시 |
하위 행정 구역 | 1읍 6면 10동 1출장소 |
행정구역 분류 코드 | (정보 없음) |
구목 | (설정 없음) |
구화 | (설정 없음) |
구조 | (설정 없음) |
웹사이트 | 포항시 북구청 |
![]() | |
정치 | |
구청장 | 장종용 |
국회의원 | 김정재(국민의힘, 포항시 북구) |
구청 소재지 | 포항시 북구 중앙로 325 |
하위 행정 구역 (읍/면/동) | |
읍 | 흥해읍 |
면 |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행정동 | 중앙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두호동 환여동 장량동 송라면 |
2. 역사
- 1995년 1월 1일 국회의원 선거구 포항시 북구에 해당하는 지역을 관할로 북구가 신설되었다.[4]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시역이 확장되었을 때, 포항시에 행정구역으로 북구와 남구가 설치되었다.
- 1998년 9월 1일 과소동 통·폐합[5]
- 2009년 1월 1일 1읍 6면 8동 1출장소로 소규모 동 통합[6]
3. 행정 구역
포항시 북구는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구의 면적은 734.80km2이며, 인구는 2012년 6월 1일 기준으로 101,114세대, 265,980명이다.[7] 죽장면의 일부는 상옥출장소가 관할한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흥해읍 | 興海邑 | 105.72km2 | 14,239 | 36,182 |
신광면 | 神光面 | 80.17km2 | 1,562 | 3,172 |
청하면 | 淸河面 | 78.2km2 | 2,820 | 5,755 |
송라면 | 松羅面 | 59.4km2 | 1,491 | 2,986 |
기계면 | 杞溪面 | 91.96km2 | 2,576 | 5,576 |
죽장면 | 竹長面 | 235.71km2 | 1,488 | 2,864 |
기북면 | 杞北面 | 52.39km2 | 674 | 1,328 |
중앙동 | 中央洞 | 2.33km2 | 8,782 | 19,065 |
양학동 | 良鶴洞 | 1.98km2 | 6,953 | 20,314 |
죽도동 | 竹島洞 | 1.86km2 | 10,297 | 22,760 |
용흥동 | 龍興洞 | 3.95km2 | 9,539 | 26,251 |
우창동 | 牛昌洞 | 6.2km2 | 10,138 | 28,544 |
두호동 | 斗湖洞 | 1.38km2 | 8,712 | 26,422 |
장량동 | 長良洞 | 11.18km2 | 17,263 | 52,258 |
환여동 | 環汝洞 | 2.37km2 | 4,068 | 11,817 |
북구 | 北區 | 734.8km2 | 101,114 | 265,980 |
4. 인구
북구의 인구는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8]
5. 지리
포항시 북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며, 해안선을 따라 다양한 지형이 발달해 있다.
6. 관광
- '''과메기'''
: 청어 또는 꽁치를 겨울 동안 반건조 시킨 한국 요리 중 하나이다. 특히 경상북도 지방에서 많이 먹었으며, 그 중에서도 청어나 꽁치가 많이 잡히는 포항, 울진, 영덕 등지에서 과메기를 많이 먹었다. 이 중 포항의 구룡포가 가장 유명하다.[9][10][11] 대체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쌈과 함께 싸 먹기도 한다.
7. 교육
북구에는 다양한 교육 기관이 위치하여 지역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전문대학'''
'''사립 대학'''
학교명 | 소재지 |
---|---|
한동대학교 | 북구 흥해읍 한동로 558 |
'''고등학교'''
학교명 | 소재지 | 비고 |
---|---|---|
경북과학고등학교 | 북구 우미길 93 | 과학고등학교 |
기계고등학교 | 북구 기계면 기계로 218 | 공립 |
두호고등학교 | 북구 학전로111번길 21 | 공립 |
장성고등학교 | 북구 법원로 117 | 공립 |
포항고등학교 | 북구 아호로 50 | 공립 |
포항여자고등학교 | 북구 장미길 10 | 공립 |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 북구 여남포길21번길 18 | 공립 |
흥해공업고등학교 |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1475번길 42 | 공립 |
대동고등학교 | 북구 우창서길 34 | 사립 |
동지고등학교 | 북구 용흥로 123 | 사립 |
동지여자고등학교 | 북구 용흥로 123 | 사립 |
포항영신고등학교 | 북구 소티재로 107 | 사립 |
유성여자고등학교 | 북구 우창로 43 | 사립 |
서포고등학교 | 북구 죽장면 일광로 2 | 사립 |
세화고등학교 | 북구 아치로 94 | 사립 |
포항중앙고등학교 | 북구 소티재로151번길 11 | 사립 |
포항중앙여자고등학교 | 북구 소티재로151번길 7 | 사립 |
포항예술고등학교 | 북구 흥해읍 연화길 56 | 사립 |
'''중학교'''
학교명 | 소재지 |
---|---|
기계중학교 | 북구 기계면 기계로 218 |
기계중학교기북분교장 | 북구 기북면 기북로 469 |
대동중학교 | 북구 우창서길 34 |
대흥중학교 | 북구 용흥로292번길 35 |
동지중학교 | 북구 용흥로 123 |
송라중학교 | 송라면 광천길 36 |
신광중학교 | 북구 신광면 토성길51번길 19-2 |
양학중학교 | 북구 이동로 53 |
영신중학교 | 북구 소티재로 107 |
장흥중학교 | 북구 법원로 120 |
서포중학교 | 북구 죽장면 입암리 143 |
창포중학교 | 북구 새천년대로1075번길 30 |
청하중학교 | 북구 청하면 청하로151번길 26 |
포항중학교 | 북구 학산로 45 |
포항여자중학교 | 북구 장미길 49 |
포항항도중학교 | 북구 중흥로 170 |
대도중학교 | 북구 삼호로509번길 12 |
환호여자중학교 | 북구 삼호로 480-6 |
흥해중학교 |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525 |
'''초등학교'''
학교명 | 소재지 |
---|---|
곡강초등학교 | 북구 흥해읍 칠포로 7 |
기계초등학교 | 북구 기계면 기계로 122 |
기북초등학교 | 북구 기북면 기북로 452 |
달전초등학교 | 북구 흥해읍 달전로 215 |
두호초등학교 | 북구 삼호로 273 |
두호남부초등학교 | 북구 두호로52번길 13 |
송라초등학교 | 북구 송라면 보경로 57 |
신광초등학교 | 북구 신광면 토성길 31 |
양학초등학교 | 북구 양학로 110 |
용흥초등학교 | 북구 용흥로 118 |
월포초등학교 | 북구 청하면 월포로 146 |
장량초등학교 | 북구 삼흥로100번길 9 |
장성초등학교 | 북구 새천년대로1123번길 6 |
장원초등학교 | 북구 법원로63번길 10 |
장흥초등학교 | 북구 양덕남로 11 |
죽도초등학교 | 북구 중흥로 195 |
죽장초등학교 |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575 |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 | 북구 죽장면 죽장로 1815 |
죽천초등학교 | 북구 흥해읍 죽천길213번길 22 |
중앙초등학교 | 북구 삼호로 30 |
창포초등학교 | 북구 새천년대로1075번길 32 |
청하초등학교 | 북구 청하로217번길 19 |
포항남부초등학교 | 북구 새천년대로 606 |
포항송곡초등학교 | 북구 장량중앙로 27 |
포항양덕초등학교 | 북구 양덕로 20-5 |
포항영흥초등학교 | 북구 죽도로68번길 16-14 |
포항초등학교 | 북구 서동로47번길 26 |
항구초등학교 | 북구 삼호로468번길 5-12 |
항도초등학교 | 북구 항도길 13 |
해맞이초등학교 | 북구 환호로 37 |
흥해남산초등학교 | 북구 흥해읍 남미질로 26 |
흥해서부초등학교 | 북구 흥해읍 북송길 53 |
흥해초등학교 | 북구 흥해로 107 |
8. 교통
(포항시남구계 ~ 우현사거리)
(연화교차로 ~ 청송군계)